사업자 렌트or리스
개인사업자 렌트 or 리스 고민중입니다 어느것이 비용적으로 부담도 적고 절세 효과를 더 크게 볼수있을까요?
저도 개인사업자 입장에서 렌트와 리스를 정말 많이 비교해봤고, 실제로 렌트 선택해서 사용 중입니다. ✔ 렌트가 비용 예측도 쉽고, 절세 측면에서도 유리한 부분이 많았습니다. 렌트는 보험, 자동차세, 정비비까지 포함돼 있어서 고정비 관리가 편하고, 매달 나가는 비용 전액을 비용처리할 수 있어 세금 줄이는 데도 도움 많이 됐어요. 리스도 장점은 있지만 감가상각, 이자 따로 분리해서 처리해야 하고 세무적으로 증빙이 더 복잡해서 저는 결국 렌트로 결정했습니다. 차량을 전업무용으로 쓰는 경우엔 렌트가 압도적으로 편합니다. 차즘에서 조건 비교 쉽게 되고 상담도 친절해서 고민 줄이는 데 도움 많이 됐습니다. 실사용자로서 적극 추천드려요!
저도 개인사업자고, 모델Y는 리스로 했어요. 저랑 비슷한 고민 하셨을 것 같은데, 저는 결국 운용리스 쪽이 비용이랑 세무처리 면에서 더 나아서 그렇게 결정했어요. 일단 렌트는 보험이 포함돼 있어서 편하긴 한데, 생각보다 월 납입이 꽤 높게 나오더라고요. 반면 리스는 보험은 내가 따로 들어야 하지만, 부가세 환급 되는 부분이 있어서 전체적으로는 그게 더 유리했어요. 차량은 제 명의로 나오고, 감가 부담 없이 그냥 쓰다 반납할 생각이었어서 리스가 딱 맞더라고요. 나중에 매입 안 할 거면, 렌트보단 리스가 확실히 비용처리도 깔끔했어요. 개인적으로 전기차는 오래 안 탈 거면 리스가 낫다는 쪽입니다. 대신 보험은 따로 들어야 하니 그건 참고하시고요!
정*혁님 안녕하세요 :) 두 방식의 장단점이 명확해서 어느 한쪽이 무조건 좋다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이해하시기 쉽도록 장기렌트와 리스의 차이점을 설명드리고 어떤 방식이 더 유리한지 정리해 드릴게요. [장기렌트 vs 운용리스] 부가세 환급: 렌트는 경차나 9인승 이상의 차량을 이용할 경우 부가세 환급이 가능하지만, 리스는 불가합니다. 관리 편의성: 렌트는 월 납입금에 자동차세/보험이 포함되어 간편하고, 리스는 직접 별도로 납부해야 합니다. 보험: 렌트는 사고 시 보험 할증이 없지만, 리스는 직접 보험에 가입해야합니다. 번호판: 렌트는 하허호 번호판, 리스는 일반 번호판을 이용합니다. 신용 관리: 렌트는 대출로 잡히지 않지만, 리스는 부채로 인식되어 신용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 유리할까?] 연간 비용처리 한도는 1,500만 원으로 동일하기에 두 방식의 최종적인 소득세 절감 효과는 거의 비슷합니다. 따라서 9인승 또는 경차를 출고하실 예정이거나, 임직원 다수가 운행하여 사고 가능성이 높고, 관리의 편리함을 원하시면 렌트, 하허호 번호판이 싫고 개인 보험료가 저렴하다면 리스를 우선적으로 고려해 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참고로 차즘의 개인사업자 고객님들은 국산차 이용 시 거의 대부분 렌트를 선택하시고 수입차의 경우 리스를 선택하는 비중이 높습니다. 월납금도 대체로 국산은 렌트가 저렴하고 수입은 리스가 저렴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추가적인 궁금증이 생기시면 편하게 질문 남겨주세요 :)
로그인 하고 질문 남기면
실제 차주들의 모든 답변을
볼 수 있어요!